'전체보기'에 해당되는 글 86건

  1. 2009.10.22 Interrupt by 초상큼발랄 2
  2. 2009.10.22 New York by 초상큼발랄
  3. 2009.10.22 Scheduling by 초상큼발랄
  4. 2009.10.22 Scheduling(1) by 초상큼발랄 1
  5. 2009.10.15 대추 한 알 by 초상큼발랄 2
  6. 2009.10.13 안드로이드 실행 by 초상큼발랄 1
  7. 2009.10.13 안드로이드 설치 by 초상큼발랄 2
  8. 2009.10.13 외대 by 초상큼발랄
  9. 2009.10.13 요일 프로그램 by 초상큼발랄 2
  10. 2009.10.12 졸업 by 초상큼발랄

1. 중첩인터럽트 처리 방법

1) 하나의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동안 다른 인터럽트를 금지(disable)시킨다.

· 금지된 인터럽트: 단순히 처리기가 인터럽트 요구 신호를 무시한다는 의미

ex) 인터럽트 금지 기간 동안에 발생한 인터럽트는 처리되지 않은 채 남겨져 있게 되고, 처리기가 인터럽트 발생을 허용한 후에 처리된다.

· 단점: 우선순위나 시간 긴급(time-critical) 요구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.

2) 인터럽트 간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높은 우선순위 인터럽트가 낮은 우선순위 인터럽트를 인터럽트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.

'Education > Operating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hapter 7. Memory  (2) 2009.12.11
명령어 수행  (2) 2009.10.22
Scheduling  (0) 2009.10.22
Scheduling(1)  (1) 2009.10.22
Trace of Process  (2) 2009.10.12
Posted by 초상큼발랄
l

New York

Photo 2009. 10. 22. 20:00

There is Central Park in New york.
 I would like to go there.







I miss those days.

'Phot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불고기 브라더스  (0) 2010.06.13
꽃바구니  (0) 2010.06.13
여유  (0) 2009.10.30
외대  (0) 2009.10.13
졸업  (0) 2009.10.12
Posted by 초상큼발랄
l

* First-Come-First-Served(FCFS)

- 비선점형(Non-preemptive)

- 가장 단순한 형태의 스케줄링 정책이며, FIFO(First-Input-First-Output)라고도 불린다.

- 짧은 프로세스보다는 긴 프로세스에 유리하다.

* Round-Robin(RR)

- 선점형(Preemptive)

- 시간 할당량(Time Slicing 또는 Time Quantum) 기법

- 모든 프로세스는 한 번에 정해진 시간 조각만큼만 실행 한 후 강제적으로 CPU를 빼앗는다.

* Shortest Process Next(SPN)

- 비선점형(Non-preemptive)

- 가장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수행

- 구현 불가능(각 프로세스가 요구하는 총 실행시간을 미리 알아야 함)

* Shortest Remaining Time(SRT)

- 선점형(Preemptive)

- 예상되는 남아 있는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가 선택

* Highest Response Ratio Next(HRRN)

- 비선점형(Non-preemptive)

- 반환 시간(TAT) : 프로세스가 시스템에 진입한 후 대기한 시간과 실행한 시간을 모두 합쳐 결국 시스템 내에서 머문 총 시간을 의미한다.

실제 서비스 시간 대비 반환시간의 비율을 나타낸다.

- R(응답 비율) = ( time spent waiting(처리기를 기다리며 대기한 시간) + expected service time(예상되는 서비스 시간) ) / expected service time(예상되는 서비스 시간)

- 대기시간이 길어지면 R값이 커지기 때문에 스케줄러에게 보상 받는다.

- 계산시간이 복잡하고 증가면 이 알고지름의 시간 복잡성이 증가하여 오버헤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고려해야한다.

* 스케줄링 정책들의 비교 분석 *

프로세스

A

B

C

D

E

도착시간

0

2

4

6

8

서비스시간(Ts)

3

6

4

5

2

<FCFS>

평균

종료시간

3

9

13

18

20

반환시간(Tr)

3(3-0)

7(9-2)

9(13-4)

12(18-6)

12(20-8)

8.60

Tr/Ts

1.00

1.17

2.25

2.40

6.00

2.56

0

1

2

3

4

5

6

7

8

9

10

11

12

13

14

15

16

17

18

19

20

A

B

C

D

E

<RR q=1>

평균

종료시간

4

18

17

20

15

반환시간(Tr)

4(0-4)

16(18-2)

13(17-4)

20(20-6)

7(15-8)

10.80

Tr/Ts

1.33

2.67

3.25

2.80

3.50

2.71

0

1

2

3

4

5

6

7

8

9

10

11

12

13

14

15

16

17

18

19

20

A

B

C

D

E

<RR q=4>

평균

종료시간

3

13

11

20

19

반환시간(Tr)

3(3-0)

11(13-2)

7(11-4)

14(20-6)

11(19-8)

10.00

Tr/Ts

1.00

2.5

1.75

2.80

5.50

2.71

0

1

2

3

4

5

6

7

8

9

10

11

12

13

14

15

16

17

18

19

20

A

B

C

D

E

<SPN>

평균

종료시간

3

9

15

20

11

반환시간(Tr)

3(0-3)

7(9-2)

11(15-4)

14(20-6)

3(11-8)

7.60

Tr/Ts

1.00

1.17

2.75

2.80

1.50

1.84

0

1

2

3

4

5

6

7

8

9

10

11

12

13

14

15

16

17

18

19

20

A

B

C

D

E

<SRT>

평균

종료시간

3

15

8

20

10

반환시간(Tr)

3(0-3)

13(15-2)

4(8-4)

14(20-6)

2(10-8)

7.20

Tr/Ts

1.00

2.17

1.00

2.80

1.00

1.59

0

1

2

3

4

5

6

7

8

9

10

11

12

13

14

15

16

17

18

19

20

A

B

C

D

E

<HRRN>

평균

종료시간

반환시간(Tr)

Tr/Ts

0

1

2

3

4

5

6

7

8

9

10

11

12

13

14

15

16

17

18

19

20

A

B

C

D

E

<Feedback>

평균

종료시간

반환시간(Tr)

Tr/Ts

0

1

2

3

4

5

6

7

8

9

10

11

12

13

14

15

16

17

18

19

20

A

B

C

D

E

 

'Education > Operating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명령어 수행  (2) 2009.10.22
Interrupt  (2) 2009.10.22
Scheduling(1)  (1) 2009.10.22
Trace of Process  (2) 2009.10.12
HAL(Hardware Abstraction Layer)  (0) 2009.10.07
Posted by 초상큼발랄
l

Chapter 9. Uniprocessor Scheduling

* 스케줄링의 목적

- 처리기가 다음에 실행할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것

- 응답시간(Response time)

- 처리량(Throughput)

- 효율성(Processor efficiency)

* 스케줄링의 종류

- 장기 스케줄링(Long-Term Scheduling)

· 프로세스를 시스템으로 집입시킬지 여부를 결정

· 다중프로그래밍의 정도를 제어하는 역할

- 중기 스케줄링(Medium-Term Scheduling)

- 단기 스케줄링(Short-Term Scheduling)

· 디스패처(Dispatcher)

· CPU에 의해 실행될 다음 번 프로세스로 어떤 프로세스를 선택할지를 결정

· 자주 실행됨

* 단기 스케줄링 평가 기준들

· 사용자 중심의 성능 관련 평가 척도

- 반환 시간(Turnaround Time): 프로세스가 시스템으로 진입한 후부터 종료할 때까지 걸린 시간

- 응답시간(Response Time): 프로세스가 시스템에 요구를 한 후 이에 대한 시스템으로부터의 첫 번째 응답이 올 때까지의 시간

- 완료 기한(Deadline): 프로세스가 완료 되어야 하는 시점

· 사용자 중심의 기타 평가 척도

- 예측가능성(Predictability): 같은 작업이라면 실행 될 때마다 동일한 기간 동안 실행되어야 하고, 시스템의 부하 정도에 상관없이 동일한 비용으로 실행되어야 한다. 만일 실행할 때 마다 지나치게 차이가 난다면, 사용자들은 시스템을 신뢰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.

· 시스템 중심의 성능 관련 평가 척도

- 처리량(Throughput): 단위시간 내에 실행을 완료 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의 수

- 처리 이용률(Processor utilization): 전체 시간 중에 처리기가 바쁘게 실행을 한 시간의 비율

· 시스템 중심의 기타 평가 척도

- 공정성(Fairness):

- 우선순위 부여(Enforcing Priority):

- 균형있는 자원 활용(Balancing Resources):

* 우선순위(Priorities)

- 스케줄러는 항상 높은 우선순위의 프로세스를 선택

- 문제점: 순수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 방식에서 높은 우선순위의 프로세스가 계속적으로 생성되고 낮은 우선순위의 프로세스가 계속 CPU를 할당 받지 못해 기아(Starvation) 발생

* 결정 모드

- 비선점(Non-preemptive)

· 프로세스가 일단 실행 상태(Running State)에 진입하면 종료되거나 자발적으로 CPU를 놓을 때까지는 CPU를 빼앗기지 않는다.

- 선점(Preemptive)

·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라고 할지라도 운영체제에 의해 인터럽트가 걸려 비자발적으로 준비 큐로 이동된다.

· CPU를 빼앗을 수 있다.

'Education > Operating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nterrupt  (2) 2009.10.22
Scheduling  (0) 2009.10.22
Trace of Process  (2) 2009.10.12
HAL(Hardware Abstraction Layer)  (0) 2009.10.07
프로세스  (0) 2009.10.07
Posted by 초상큼발랄
l

대추 한 알

My Space 2009. 10. 15. 21:17




대추가 저절로 붉어질리는 없다.

저안에 태풍 몇 개

천둥 몇 개, 벼락 몇 개



'My Spa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문자  (0) 2009.10.28
*  (0) 2009.10.06
Start : )  (0) 2009.09.30
Posted by 초상큼발랄
l

Hello World 만들기

1. 이클립스 메뉴의 File -> New -> Project 를 선택
Select a wiard 가 나타나는데 목록을 보면 우리의 관심인 Android가 보임

2. 앞에 + 를 클릭 펼쳐진 Android Project 클릭. Next 버튼 클릭

3. New Android Project 다이알로그가 나타난다. 먼저 Project name 을 설정 

4. Contents 그룹에서 새로운 프로젝트 이므로 Create new project in workspace 선택

5. Build Target 그룹에서 Android 1.5 선택

6. 
           Application name: Hello,Android
           Package name: org.example.hello

           Create Activity: Hello

           Min SDK Version: 자동 선택


7. Finish 버튼 클릭

'Education > 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ndroid 환경 설정  (1) 2010.07.20
Android Amulator 설치  (4) 2010.06.22
Android Error - The project cannot be built until build path errors are resolved  (0) 2010.06.22
JDK 설정  (0) 2010.06.21
안드로이드 설치  (2) 2009.10.13
Posted by 초상큼발랄
l

- Android SDK 1.5(http://developer.android.com/sdk/download.html?v=android-sdk-windows-1.5_r2.zip)

1. Windows SDK를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

2. 압축 푼 후에 tools 폴더에서 emulator 경로 찾기

2-1. C:Android\android-sdk-windows-1.5_r3tools 폴더내부에 보면 emulator.exe라는 실행파일이 존재하는데 Android 1.1 SDK 버전에서는 emulator.exe파일을 실행하면 emulator가 바로 실행되었으나 업데이트된 1.5버전에서는 AVD(Android Virture Device)란 것이 생기면서 1.1버전과 1.5버전을 AVD를 통해 동작 하도록 되어있다.

2-2. 제어판의 시스템에서 고급 탭의 환경변수에 사용자 변수 편집 emulator의 경로를 추가 
      Dos 창을 실행 시킨 후에 C:\Users\oslab\Desktop\Android\android-sdk-windows-1.5_r3\tools 폴더로 이동하여 다음과 같이 입력


- eclipse-java-ganymede-SR2-win32(http://www.eclipse.org/downloads/)

1. eclipse 실행

2. workspace의 경로 설정

3. Help - Software Update... 선택

4. Software Updates.... 탭 이동

5. Add Site 선택

6. ( https://dl-ssl.google.com/android/eclipse/ ) 주소 입력 ( 문제 발생시 https ==> http 로 변경, 보안문제 )

7. 박스 체크 후 install 시작 (중간에 라이센스 동의 나오면 동의하기 ^^)

8. 재부팅

9. SDK폴더 지정하기

9-1. window - preferences - Android 선택

9-2. Browse 선택 이후 Android SDK 가 설치된 폴더를 선택

9-3. Apply - OK 선택

10. 안드로이드 AVD 생성

10-1. Eclipse의 메뉴에서 Window -> Android AVD manager를 실행

10-2. Apply를 눌러 적용한 다음 Eclipse 재실행 

 

'Education > 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ndroid 환경 설정  (1) 2010.07.20
Android Amulator 설치  (4) 2010.06.22
Android Error - The project cannot be built until build path errors are resolved  (0) 2010.06.22
JDK 설정  (0) 2010.06.21
안드로이드 실행  (1) 2009.10.13
Posted by 초상큼발랄
l

외대

Photo 2009. 10. 13. 18:22


그땐 왜 몰랐을까........

'Phot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불고기 브라더스  (0) 2010.06.13
꽃바구니  (0) 2010.06.13
여유  (0) 2009.10.30
New York  (0) 2009.10.22
졸업  (0) 2009.10.12
Posted by 초상큼발랄
l

동생 숙제를 하다가,,,,,,

#include <stdio.h>
#include <stdlib.h>

void main() // int main(int arcg, char **argv)
{

 int year = 0, month = 0, day = 0;
    int total = 0, day_count = 0;

 int i;

 printf("Enter the Year: ");
 scanf("%d", &year);
 printf("Enter the Month: ");
 scanf("%d", &month);
 printf("Enter the Day: ");
    scanf("%d", &day);

 for(i = 1; i < month; i++)
 { 

if(i == 2)
{

if((year%4 == 0 && year%100 != 0) || year%400 == 0) day_count = 29; 
   
else day_count = 28;

}

else if(i==4 || i==6 || i==9 || i==11) day_count = 30; 
  
else day_count = 31; 
 

total += day_count; 

 }

 total = ( (year-1) * 365 + (year-1) / 4 - (year-1) / 100 + (year-1) / 400 + total + day) % 7;

 switch(total)
 {

      case 0: printf("%d Years %d Months %d Days is Sunday\n", year, month, day); break;
      case 1: printf("%d Years %d Months %d Days is Monday\n", year, month, day); break;
      case 2: printf("%d Years %d Months %d Days is Tuesday\n", year, month, day); break;
      case 3: printf("%d Years %d Months %d Days is Wednesday\n", year, month, day); break;
      case 4: printf("%d Years %d Months %d Days is Thursday\n", year, month, day); break;
      case 5: printf("%d Years %d Months %d Days is Friday\n", year, month, day); break;
      case 6: printf("%d Years %d Months %d Days is Saturday\n", year, month, day); break;

}

}

'Education > ETC_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PT,EXCEL 창 여러개 띄우기  (0) 2012.02.07
Posted by 초상큼발랄
l

졸업

Photo 2009. 10. 12. 15:40

졸업 꽃다발



'Phot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불고기 브라더스  (0) 2010.06.13
꽃바구니  (0) 2010.06.13
여유  (0) 2009.10.30
New York  (0) 2009.10.22
외대  (0) 2009.10.13
Posted by 초상큼발랄
l