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커널 다운
2. 압축 풀기
# tar xvfz linux-2.6.29.4.tar.gz
3. 압축 푼 커널 이동
# mv linux-2.6.29.4 /usr/src
4. 압축 해제된 디렉토리로 이동
# cd /usr/src/linux-2.6.29.4
5. 이전 오브젝트 파일 삭제
# make mrproper
6. 환경 설정
# make menuconfig
7. 컴파일
- /usr/src/linux-2.6.29.4/arch/i686/boot 디렉토리에 bzImage를 생성하는 커널 컴파일 과정 수행
- make dep, clean, bzImage 명령을 make 명령어로 한번에 처리
# make
8. 모듈 설정
- make menuconfig 환경설정에서 (M)로 선택한 모듈 부분을 커널 내부 구성요소에게 알려주고 그 구성요소들이 사용될 때 Auto kenel 적재가능하게 설정
# make modules
9. 모듈 설치
- 8번 단계에서 설정한 대로 설치
#make modules_install
10.
- 자동으로 /boot 디렉토리에 initrd-2.6.18.img, vmlinux-2.6.18 파일들을 생성하고 이동시킨다.
- 예전의 2.4.x 커널 컴파일 방식보다 매우 편리하고 간단하게 커널컴파일 과정을 할 수 있다. 또한 /boot/grub/grub.conf 혹은 menu.list 파일을 자동으로 변경해주어 따로 부트로더 설정할 필요가 없어졌다.
#make install
11. 재부팅
# reboot
'Education > Linux Kerne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커널 소스 트리 (0) | 2009.11.18 |
---|---|
root passwd (0) | 2009.10.28 |
명령어 (0) | 2009.10.28 |
Samba 설치 (0) | 2009.09.24 |
root 계정 (0) | 2009.09.07 |